분류 전체보기

· Android
1. 개요Android XML 코드 구현 방식에서는 onBackPressed() 코드를 Override 해서 사용하면 되었지만, Compose에서는 Override 할 수 있는 코드가 소개되어있지 않아, 간단하게 뒤로 가기 2번 실행했을 때 앱을 종료하는 코드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2. 구현BackOnPressed()를 Compose에 구현한다@Composablefun BackOnPressed() { val context = LocalContext.current var backPressedState by remember { mutableStateOf(true) } var backPressedTime = 0L BackHandler(enabled = backPressedState) {..
· 일상
#1 신차검수 및 작업차량이 해당 썬팅작업하는 곳에 도착하면 딜러에게 연락이 옵니다.신차검수의 경우에는 업체에서 자세히 진행해주지만, 썬팅 작업전에 본인이 확인하고 싶다면 직접가서 차를 봐도 됩니다.저는 직접가서 볼려고 했지만, 일정이 맞지않아서 물품작업을 바로 진행했습니다.다행히 차량인수할때 봤지만 문제점은 보이지 않았습니다.#2. 자동차 보험가입, 차량등록, 번호판 부착물품작업이 보통 2~3일정도 걸리는데, 그 사이에 자동차 보험가입을 진행하면 됩니다.보험가입을 진행할때 차량번호가 필요한데, 차량번호는 차량등록을 해야나옵니다.그래서 보험가입을 할때는 차대번호로 진행해야합니다. (이 경우 딜러에게 물어보면 알려줍니다..)그리고나서 딜러가 번호 10개를 주면서 고를 수 있게 해주는데, 여기서 선택된 번호..
· 일상
#1 계약원하는 옵션을 정하고 딜러한테 계약을 하면 계약금 10만원을 납입해야 진행됩니다.여기서 중요한 점이 색상, 옵션을 정해야지 계약순번이 생성됩니다.추후에 색상 또는 옵션이 변경할 경우 이 계약순번이 초기화되고 다시 계약하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구매자 입장에서는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2 순번딜러에게 순번이 나왔냐고 물어봤더니, 7/8이라고 알려줍니다.7/8이라고 하면, 같은 사양(등급, 옵션)을 주문한 사람이 8명인데 그 중에서 7번째라는 의미입니다.같은 사양을 주문한 사람이 적은 경우 비선호사양이라는 의미입니다.#3 생산계획2달을 넘게 기다려서 딜러에게 생산계획이 잡혔다고 연락이 왔습니다…. (드디어)생산계획이 잡히면 출고까지는 금방 이루어졌습니다.이제 슬슬 차량 결제랑 신경쓸게 많아집니다...
· 일상
신차를 구매할려면 차 값은 고정적이다보니 좋은 딜러를 만나서 가능한 많은 혜택을 받는게 최고라고 생각합니다.카마스터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하는 것은데, 딜러, 영맨(영업사원) 다 같은 의미라고 합니다. #1 카마스터 찾기 (오프라인, 지인 소개, 네이버 카페, 다나와 자동차)1. 오프라인 및 지인 소개동네 지점을 방문하는 방법과 지인 소개를 받는 방법도 있습니다.하지만 지인 소개가 없는 저로써는 근처 대리점 방문을 선택하였습니다.동네 지점을 방문할때는 지점(직영점)과 대리점이 있는데, 지점(직영점)에서 구매하는 것은 카마스터 혜택을 거의 못 받습니다. (받더라도 혜택이 적게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지점(직영점) 구매는 비추합니다.가끔 가다가 견적내고 바로 계약을 해야하나(?) 라는 생각도 들지만, 계약은 ..
· 일상
기존에 운행 중이던 자동차가 있었지만 노후화와 잔고장 수리비용까지.. 지금이 아니면 자동차를 구매할 때가 아닌 것 같아 구매하게 되었습니다.태어나서 처음 경험해보는 신차 구매 !!나한테 맞는 차종 찾기부터 시작해서 구매 후기까지 기록을 남겨두면 좋을 것 같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1 세단 ?? SUV ?? 도대체 무슨 차를 사지?현재 운행 중인 소나타와 3년 전에 잠시 운행했던 투싼을 비교해 봤을 때 승차감이 좋은 세단보다 운전석에 탑승했을 때 위에서 아래로 내려보는 것이 좋기도 했고 개방감 있는 트렁크를 보유하고 있는 SUV를 선택했습니다.물론, 외제차.. 제네시스 비싼 차를 사고 싶지만, 회사원인 나로서는 현재 내가 지불할 수 있는 예산을 타협하는 게 중요하다고 해서 예산 MAX를 일시불+할부 ..
· Android
1. 개요 디바이스 로컬 내 데이터 저장하는 작업을 진행하다 보면, 보통 SharedPreferences나 RoomDB, SQLite DB를 사용한다. 키-값을 저장해야하는 경우는 대체로 SharedPreferences를 사용하곤 한다. 최근 JetPack Compose에 대해 공부하면서 DataStore라는 것을 발견하면서 DataStore에 대해서 학습을 시작했다. 공식문서를 살펴보면 구글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구가 적혀있다. 현재 SharedPreferences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면 대신 DataStore로 이전하는 것이 좋습니다. Why....? 2. SharedPrefernces의 한계와 문제점 SharedPreferences 에서는 읽기(Read)에 대해 기존에 값을 읽어오는 것은..
코앱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